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사회심리학이란?

by 마인드로드키 2023. 7. 25.

썸네일

사회심리학(Social Psychology)이란 사회적 상호작용과 개인의 사회적 행동, 사고, 감정, 태도 등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 개인과 사회 간의 상호작용과 영향력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초점을 맞춥니다. 이를 통해 사회적 행동과 의사소통, 집단 현상, 문화, 정치, 조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람들의 행동을 예측하고 설명하는데 기여합니다.

 

사회심리학의 발전과 역사

사회심리학은 20세기 초반에 개별적인 심리학 분야에서 사회적인 측면을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반까지 주로 인간의 개인적인 경험과 심리적인 과정에 초점을 맞춘 개인심리학이 주류였습니다. 그러나 이후 사회적인 환경이 인간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깊이 이해하려는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사회심리학이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사회심리학은 개인의 행동과 태도가 사회적 상황과 상호작용하며 형성된다는 관점을 갖고 있습니다. 이것은 상호작용적 사고방식으로 개인의 특성과 사회적 환경이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입니다.

 

트리플렛(Triplet)의 자전거 경주 실험 (1987) : 트리플렛은 자전거 경주에서 경쟁자의 존재가 개인의 성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였습니다. 이는 사회적인 환경이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아이디어를 탄생시키는데 일조한 사례입니다.

 

샤먼의 대인인식 실험 (1935) : 샤먼은 개인이 다른 사람들로부터 어떻게 인식되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이 실험은 사회적 자아의 개념을 도입하고, 다른 사람들의 평가가 개인의 자아인식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냈습니다.

 

멀그레이브의 집단 심리학 (1940-1950) : 멀그레이브는 집단과 집단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그는 집단의 동일시 현상과 집단 내적인 믿음, 집단적인 사고 방식에 대해 기여한 학자로 평가됩니다.

 

텐만의 사회인지론 (1950-1960) : 텐만은 사회적 상황에서 개인이 어떻게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는지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이로써 사회인지론의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피오지의 인지적 불일치 이론 (1960) :ㅣ 피오지는 개인의 태도와 행동이 일치하지 않을 때, 어떻게 간극을 해소하는지를 연구하였습니다. 이는 태도와 행동의 불일치가 개인의 심리적인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혀냅니다.

 

제일의 집단 동일시 이론 (1970) : 제일은 개인이 집단 내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어떻게 형성하는지를 연구하였습니다. 이는 집단 소속이 개인의 행동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을 이해하는데 기여하였습니다.

 

사회심리학의 이론

사회인지 이론 (Social Cognitive Theory) :

알버트 반더러와 리처드 밴드라의 사회인지 이론은 개인의 행동을 주변 환경과 인지적 요소들의 상호작용으로 이해하는 이론입니다. 이론은 사회적 모델링과 자기효능감에 주목하며, 개인이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함으로써 학습과 인식이 이루어진다고 보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개인의 행동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합니다.

 

사회적 교환 이론 (Social Exchange Theory) :

사회적 교환 이론은 인간 관계에서 상호작용하는 개인들의 행동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개인들이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보상을 교환하는 경향을 강조합니다. 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비용을 최소화하고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해 상호작용을 결정하며, 이러한 상호작용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시킨다고 합니다.

 

집단 생물학 이론 (Group Socialization Theory) :

집단 생물학 이론은 집단 내에서의 사회적 학습과 집단적 행동의 형성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집단 내에서의 인지적 상호작용과 집단 구성원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합니다. 집단 생물학 이론은 집단이 개인의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개인이 집단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사회적 신뢰 이론 (Social Trust Theory) :

사회적 신뢰 이론은 개인이 다른 개인이나 집단에 대해 믿음을 가지고 상호작용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는 이론입니다. 신뢰와 협력이 사회적 상호작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신뢰가 사회의 안정과 협력을 촉진하는 역할을 주목합니다.

 

사회적 영향 이론 (Social Influence Theory) :

사회적 영향 이론은 개인들이 타인이나 집단의 의견, 태도, 행동에 영향을 받는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사회적 영향의 종류와 그에 따른 효과를 연구하며, 대중 커뮤니케이션, 그룹 동일화, 집단적 결정 등에 초점을 맞춥니다.

 

사회적 정체성 이론 (Social Identity Theory) :

사회적 정체성 이론은 개인들이 집단 소속에 기반하여 자기 정체성을 형성하는 이론입니다. 인종, 종교, 성별 등과 같은 사회적 범주들이 개인의 정체성과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합니다.

 

성과도기 이론 (Attribution Theory) :

성과도기 이론은 개인들이 특정 사건이나 결과에 대해 어떻게 원인을 해석하는지에 관한 이론입니다. 인간의 인지적 속성이 원인 해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합니다. 즉, 성과도기 이론은 특정 사건에 대해 내적 원인 또는 외적 원인을 찾아내는 경향을 연구하고 설명합니다.

 

사회심리학의 연구 방법

실험 연구 : 실험은 사회심리학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연구 방법 중 하나로 연구자가 실험 대상을 무작위로 그룹으로 나누고 하나 이상의 독립 변수를 조작하여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인과관계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며, 실험 조건을 통제할 수 있어 결과를 해석하기 쉽습니다.

 

설문조사 : 설문 조사도 사회심리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연구 방법 중 하나로, 질문지를 통해 사람들의 태도, 의견, 행동 등을 조사하는 방법입니다. 대규모 데이터를 수집하여 일반적인 경향을 파악하는데 적합하며, 사회적 현상을 조사하는데 유용합니다.

 

자연적 관찰 : 자연적 관찰은 사회적인 상황이나 행동을 자연스럽게 관찰하고 기록하는 방법입니다. 실험과는 달리 실험 조건을 부여하지 않으므로 실제 상황에서의 행동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콘텐츠 분석 : 콘텐츠 분석은 문서, 영상, 이미지 등의 콘텐츠를 분석하여 특정 주제나 경향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사회적 의사소통과 인터넷 사용 등의 분야에서 자주 활용됩니다.

 

신경과학적 연구 " 최근에는 신경과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사회실리학적 현상을 탐구하는 분야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사회적 행동과 뇌활동의 관계를 탐구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경 심리학이란?  (0) 2023.07.28
학습 심리학이란?  (0) 2023.07.27
발달심리학이란?  (0) 2023.07.26
인지심리학이란?  (0) 2023.07.24
심리학이란?  (0) 2023.07.20